<제도>
규격
- ISO : 국제 표준화 기구
- KS : 한국 산업 규격
- AMSI 미국
- BS 영국
- DIN 독일
- JIS 일본
선의 우선 순위
외형선 (실선) > 숨은선(파선) > 절단선 (일점쇄선) > 중심선 (일점쇄선) > 무게중심선 (일점쇄선) > 치수보조선(실선)
> 외형선 : 굵은실선( 0.3 ~ 0.8 )
= 대상물 보이는 모양 표시
> 치수선,치수보조선,지시선,회전단면선,중심선,수준면선 : 가는 실선 ( 0.2이하 )
= 치수 기입을 위해 도형으로부터 끌어낸다.
> 숨은선 : 가는파선 / 굵은 파선
= 대상물 보이지 않는 부분 표시
※ 파선 : 은선 굵은선의 약 1/2 굵기
> 중심선,기준선, 피치선 : 가는 1점 쇄선
= 위치 결정의 근거 , 도형 이동한 중심 괘적
> 특수 지정선 : 굵은 1점 쇄선
= 특수 가공 부분, 특별 요구 사항 적용 범위
> 가상선 : 가는 2점 쇄선
= 인접 부분 참고 표시. 가공 전/후 표시
되풀이 표시, 도형 단면 앞쪽 표시
무게 중심선 : 단면 무게 중심 연결한 선 표시
> 파단선 : 불규칙한 파형의 가는 실선 , 지그재그선
= 대상물을 일부 파단한 경계선
> 절단선 : 가는 1점 쇄선으로 끝부분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한다.
= 단면도 그리는 경우 그 절단 위치를 대응하는 그림에 표시
> 해칭 : 가는 실선을 규칙적으로 그린 것
=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
단면도의 절단된 부분 표시
치수 기입 원칙
길이 단위 mm
치수선,치수보조선,인출선(지시선) 사용
치수 기입이 어려울 경우 지시선 사용
제도 문자 기입 원칙
문자 굵기는 높이를 1/9
상단 가로쓰기 원칙
너비는 적절히 가감해 기입
글자체는 고딕
수직, 15˚경사로 쓴다
제도 유의점
쓰이는 선의 종류와 용도 정하기
쓰이는 선의 종류와 문자,숫자 쓰기 등 정하기
규칙과 기호 익혀서 사용
정투상도, 기탕투상도, 원리,도법 사용
음영도의 원리, 도법 사용
스케치 능력 기르기
기초 디자인 원리 파악 및 응용
Q, 제도 용지 A3크기 ?
= 297mm x 420mm
Q, 곡선 많은 한글 문자 레터링 시 필요한 도구 ?
= 운형자
Q, 치수 기입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 ?
1. 도형 외형선, 중심선을 치수선으로 이용해선 안된다.
2. 치수는 원칙적으로 축척 치수 기입
3. 서로 관련 있는 치수는 될수 있는 한 한곳에 모아 기입한다.
4. 치수는 계산 안해도 되게끔 기입
>> 투상 종류
정투상도
물체 직교하는 두 투상면에 투상
정면도,저면도, 좌/우측면도, 평면도,배면도
제3각법
눈 > 투상면 > 물체
정면도,평면도,좌/우측면도,화면도,배면도
제1각법
눈 > 물체 > 투상면
투상도 배치는 제 3각법에 의함
투상도와는 반대 방향에 위치
우측면도,정면도,평면도,평화면
축측투상도
120˚
등각 투상도,2등각 투상도,부등각 투상도
물체의 모든 면을 투상면에 경사 시켜놓고 수직투상
사투상도
45˚
투사성이 투사면과 경사 시 평행투상
표고투상도
지리상 수평면,기준면 위에 투상한 수직투상
평면도,등고선상,정면도,해수면
투시투상도
시점과 대상물을 연결한 투시선에 얻는 투상
=1,2,3점 투시 투상
물체와 시점 사이에 평면 놓고
시선과 평면이 교점으로 이루어진 상 구함
= 전개도
평행선법 : 원기둥
삼각형법 : 육각뿔대
방사선법 : 원뿔대
특수 투상도
보조투상도,부분투상도,국부투상도,회전투상도,부분확대도
단면도
대상물을 가상으로 절단
절단 한 부분 제외하고 그린 투상도
내부 구조가 복잡
보이지 않는 물체 절단해서 내부 보이게 한다
절단면은 다른 면과 구별하기 위해
45˚ 가는 평행 해칭선으로 표시
단면도 종류
온단면도 = 전 단면도
한쪽단면도 = 반 단면도
부분단면도
회전도시단면도
Q, 정투상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
1. 투상각은 공간을 수직,수평 4등분해 1,2,3,4 각으로 구분
2. 제 1각법은 영국 기준으로 보급 되어 사용
3. 제 3각법은 미국 중심으로 보급 되어 사용
4.KS규격은 기계제도 중 제 1각법을 원칙 사용
Q, 정투상도법에서 제 1각법 설명에 틀린 것 ?
1. 눈 > 물체 > 화면
2. 정면도는 평면도 위에 그린다
3. 일반적으로 제품 디자인 도면에 활용
4.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우측에 그린다
Q, 물체 앞면 모서리는 수평선과 평행하게 옆면 모서리는
수평선과 임의의 각도로 해 그린 투상도는 ?
= 사투상
Q, 축측 투상도에 해당하는 것 ?
= 등각 투상도
Q, 물체의 기본 모양 나타낼 수 있도록 물체의 중심에서
반으로 절단해 도시한 것 ?
= 온단면도
Q, 투상도법 중 기준이 눈으로부터 눈 > 화면 > 물체의 순서로 되어
눈으로 볼때 투상면은 공간에 있는 물체보다 앞에 투상하는 방법은 ?
= 제 3각법
1소점 투시도(= 평행투시도)
= > 입방체 한 면이 평행으로 놓인 경우
입방체의 수평, 수직 모서리는 연장해도
평행, 깊이 방향의 선은 수평선상의 한 점에 모인다.
2소점 투시도 (= 유각투시도, 성각투시도)
= > 임의의 경사를 갖는 입방체를 놓는 경우
수직 방향 선은 각 수직 평행
수평의 선은 각 소점으로 모인다.
투명 화면에 대한 경사각에 따라 구분
3소점 투시도 (= 사각투시도)
= > 조감도법
좌,우 소실점 외에 높이 방향도 지면을 향해 좁아진다
물체를 위에서 바라보게되면 윗면,앞면,옆면 동시에 보임
일반 투시도 : 사람이 일반적으로 물체 볼때
30˚ 각도로 건물을 볼 때
조감도 : 항공 사진과 같은 공중에서 내려다본 투시도
<투시도 용어>
E : 물체 보는 위치
SP : 관찰자가 서있는 위치
PP : 투시도 화면
GL : 화면과 지면이 만나는 선(가선)
HL : 수평선
VL : 물체과 시점 연결선
FL : 지표면에서 물체와 입점 간의 연결선
VP : 왼쪽 소실점 / RVP : 오른쪽 소실점
MP : 정육면체 측면 깊이 측정 점 (축점)
DVP : 대각선 방향에 생기는 소점 (대각소점)
Q, 투시도법 기호와 용어로 틀린 것 ?
1. GP - 가선
2. PP - 화면
3. VP - 소점
4. HL - 수평선
Q, 1소점 투시도법에 대한 설명 ?
= 한쪽 면에 물체 특징이 집중되어 있는 물체를
표현 하기에 맞다
Q, 2소점 투시도법에 대한 설명 ?
= 수평으로 평행한 선은 모두 좌우 각각의 소점으로 모인다
수직 방향의 선은 각기 수직으로 평행
유각투시도,성각투시도
Q, 투시도에 대한 설명 ?
= 시점과 대상물을 연결한 투시선에 의해 대상물의 상이 그려지는 것
'자격증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필기_디자인재료 #01 (0) | 2020.11.02 |
---|---|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필기_색채및도법_자주나오는문제 (0) | 2020.11.02 |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필기_색채 및 도법 #02 (0) | 2020.11.02 |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필기_색채 및 도법 #01 (0) | 2020.11.02 |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필기_산업디자인_자주나오는문제 (0) | 2020.11.02 |